UX UI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AI 와 UX/UI 의 상관 관계에 대해 최근 몇 년 사이 가장 많이 들리는 단어 중 하나가 ‘AI’다.사실 대부분의 IT 종사자들은 이와 같은 논리에 해당 될 것이지만 AI 가 발전할 수 록 UXUI 전문가의 입지는 줄어들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앞으로 AI와 UXUI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정리하고 싶다.또한 AI 사용 추세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AI가 왜 중요한지, UX와 무슨 상관인지 정확히 알지 못한 채 “트렌드니까 적용해보자”는 식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 내가 다니는 회사에서도 요즘 내가 소속된 부서의 모든 팀이 AI 관련 전문가도 없는 상황에서 AI 관련 RND를 진행하고있다. 아이러니한건, 본인들이 담당한 영역의 AI를 조사하고 적용해본다는건, 본인의 일자리를 AI로 넘기는 짓을 본인이 주도하라는 꼴이라서 (특히.. UX 접근성 체크리스트: 웹 서비스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 UX 접근성은 거창한 기술이 아니다. 서비스의 성패는 종종 "이용할 수 있느냐"에서 시작된다. 자조적일 수 도 있지만 이직한 후 회사의 서비스를 이용해보려 했는데, 회사 컴퓨터에서도, 개인 컴퓨터와 노트북에서도 서비스 이용이 시작 조차 어려운 것을 경험하고 크게 실망한 기억이 떠오른다. 내가 담당자였다면 정말 부끄러웠을 거다. 사용자를 중심에 두는 UX 기획자라면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 "접근성"이다. 접근성은 단순히 장애인을 위한 배려가 아니라, 다양한 상황의 사용자 모두가 서비스를 문제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기본이다.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UX 접근성 체크리스트를 아래에 정리해본다. 접근성이 중요한 이유서비스 평판: 접근성은 브랜드 이미지와 직결됨! 사용자 다양성: 장애 유무, 연령,.. 2025 UXUI 트렌드 UXUI 트렌드가 매년 크게 변화하지는 않는다. 짧게는 3~4년 길게는 10년 이상의 단위로 눈에 띄는 변화가 있다.작년에 작성했던 UXUI 트렌드는 제외하고 새롭게 추가된 트렌드를 위주로 작성하였다.작년 게시글 : https://flymetothemoonsu.tistory.com/15 1. AI : 초개인화 ai 관련해서는 지겹더라도 언급할 수 밖에 없는 트렌드이다. 사용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별 사용자의 선호도, 행동 패턴, 실시간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콘텐츠, 인터페이스 제공1.데이터 기반 고객 세분화2. 실시간 추천 시스템 도입3. 예측 모델링을 통한 개인화된 프로모션4. AI 리타겟팅 광고 활용 (일반광고 대비 10배 높은 클릭율) 결과불필요한 탐색 시간을 줄이고, 목표 달성 속도 향상 2... UXUI 툴에 관하여 처음 일을 시작한 2015년에는 제플린과 스케치가 유명하긴했기만 압도적인 툴은 아니었고 다양한 툴들을 사용했었다. 내가 다니던 회사에서는 특이하게 인디자인을 메인으로 사용했고, 가끔은 파워포인트, 바로 포토샵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경우도 많았다. 2024년 현재, 모든 UXUI 툴 중 단연 선두는 Figma가 자리잡고 있다. 현재 다니는 회사에서는 파워포인트를 사용하고있다. Figma로 전환을 시도하려 했지만 오래다녔던 분들이 변화를 싫어해서 포기했다. 뭐 파워포인트 사용이 문제가 있는것은 아니니 나도 계속 사용중이다.툴 선택 하나로 프로젝트의 방향성과 속도가 바뀌는 경우가 많다.툴은 단순히 "디자인을 그리는 도구" 그 이상으로, 기획·커뮤니케이션·개발과의 연결까지도 아우른다.이번 글에서는 실제 실무.. 포트폴리오 툴 통계 포트폴리오 툴 사용 통계에 대해 알아보자 1. 압도적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건 직접 코딩이다. 장점 : 자유로운 제작, 무료 단점 : 좋은 퀄리티로 제작 하려면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림 , 스트레스 2. 웹플로우 3. 프레이머.... 등 웹빌더 장점 : 빠르면서 좋은 퀄리티 제작, 코드 수정 및 활용 가능단점 : 개인적으로 사용해본적이 없어서 툴을 익혀야함, 코딩을 못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음, 유료+ 사용 해본 결과 : 코딩을 모르면 사용하기 어려움, 코딩을 알더라도 생각보다 그리 간단하지도 빠르지도 않다. 4. Behance ... 등 디자이너 특화 이미지 포트폴리오 도구장점 : 디자이너 특화단점 : 기획자에게 부적합 그 외 툴들은 현재로써 고려할 가치가 그다지 없어 보인다.사용자 평가 .. 백오피스에 관한 글 백오피스는 '관리자용 시스템'이다. 유저가 직접 접하는 프론트엔드와는 달리, 운영자나 사내 인력이 사용하는 화면이라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는 업무 생산성, 오류 방지, 운영 효율성에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기획자로서 백오피스 업무가 오히려 더 부담이 느껴진다. 작은 실수가 큰 장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기획자의 사려 깊은 설계와 경험 중심의 판단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처음 백오피스를 기획했을때는 인력도 충분하지 않고 기존에 있던 템플릿을 활용해서 일부분 수정하여 사용했으나, 사용할 수록 다니던 회사의 내부 시스템과 완벽히 일치 하지 않아서 약간의 불편함을 느낀 경험이 있다. 내부 직원들이 많았다면 여러 모로 더 불편했을 것이다. 기획자로서 백오피.. 전세계 및 국내 디스플레이 해상도 통계 글로벌 웹, 모바일 서비스를 제작할 때 참고하기에 유용하다. 전체 및 국가별 디스플레이 해상도 통계를 참고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데스크탑(노트북 포함) - 모바일 - 테블릿 총합 통계를 보여주며 개별 통계 또한 확인 할 수 있다. 전세계 1위는 FHD 1920x1080이며 23.53% 차지하고 있다. 시간이 흐를 수록 높은 해상도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노트북의 비중이 높다. 대한민국은 전세계에서 압도적으로 높은 해상도를 사용하는 국가이다. FHD가 절반이 넘으며 2위가 QHD인 유일한 국가. 심지어 8위에 3440x1440 가 등재 되어있다. 노트북 비중이 매우 낮은편에 속한다. 현재 회사에서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일부 국가의 최근 통계를 확인해보았다. 역시나 한국과는 차이가 매우 크다. .. 색 조합 및 트렌드 관련 사이트 색상은 디자인과 UXUI에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색상만으로도 퀄리티가 좌우 될 수 있다. 변하지 않는 색상 법칙도 있지만 매년 변하는 색상 트렌드 또한 알아두면 도움이 된다. 아래는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적합한 색상과 색상 조합을 찾을 수 있는 사이트를 정리해보았다. https://colorhunt.co/palettes/popular The Most Popular Color Palettes of 2024 - Color Hunt Find the perfect trendy color palettes and get color inspiration for your next design or art project. colorhunt.co [입문용] ★ ★ ★ ☆ 초심플. 입문용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이트.. 이전 1 2 다음